대장내시경은 대장 질환을 조기 발견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검사지만, 검사 목적(건강검진 vs 치료) 에 따라 비용 부담과 보험 적용 범위가 크게 달라집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의료기관 기준 비용 범위, 보험 적용 조건, 실손보험 청구 가능성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했습니다.
대장내시경 비용 구조 이해하기
대장내시경은 기본 검사료, 진정관리료(수면비용), 추가 시술비(용종제거·조직검사 등) 로 구성됩니다.
즉, 단순 검사인지 치료 목적 검진인지에 따라 총액이 달라집니다.
일반적인 비용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항목 | 평균 비용(원) | 보험 적용 여부 | 비고 |
|---|---|---|---|
| 일반 대장내시경 | 50,000~80,000 | O (진단 목적 시) | 의원급 기준 |
| 수면 대장내시경 | 200,000~300,000 | X (비급여 항목) | 진정관리료 포함 |
| 용종제거 시술 | 130,000~250,000 이상 | O | 조직검사 포함 시 증가 |
| 건강검진용 내시경 | 250,000~400,000 | X | 전액 본인 부담 |
※ 실제 병원마다 차이가 있으며, 수면약 종류나 사용 장비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 적용 기준 정리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건강보험 적용 여부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치료나 진단 목적일 경우에만 보험이 적용됩니다.
- 복통, 혈변, 변비, 체중 감소 등 의학적 증상이 있을 때
- 의사의 소견에 따라 진단 목적 내시경 검사로 진행할 때
이 경우, 행위료 약 8만 원 수준의 보험급여가 적용됩니다.
반면 건강검진 목적으로 내시경을 받는 경우에는 보험이 적용되지 않으며, 전액 본인 부담입니다.
또한, ‘수면내시경’의 경우 진정관리료는 비급여 항목으로 분류되어 별도 부담이 발생합니다.
실손보험 적용 가능 조건
실손보험에서는 대장내시경 결과가 질병 진단 또는 치료 목적일 경우 청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단순 건강검진 목적으로 시행했다면 보험금 청구는 불가능합니다.
청구 가능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구분 | 보험 적용 가능성 | 비고 |
|---|---|---|
| 복통 등 증상으로 검사 | 가능 | 진단 목적 인정 |
| 용종 제거 등 치료 목적 | 가능 | 수술비 항목 적용 가능 |
| 건강검진용 내시경 | 불가 | 예방 목적 판단 |
| 수면내시경 비용 | 불가 | 비급여 항목 |
진료기록에 질병 코드(K63, D12 등) 가 포함되어야 보험사가 이를 인정합니다.
검진 목적이라면 코드가 누락되므로 청구가 거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가검진 대상자라면?
국가에서 지원하는 대장암 검진 프로그램은 만 50세 이상부터 적용됩니다.
다만, 기본검사는 분변잠혈검사(대변검사) 로 한정되며, 이 검사에서 양성 결과가 나올 경우에만 대장내시경을 무료 또는 저비용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즉,
- 분변잠혈검사 없이 바로 대장내시경을 받는다면 → 본인 전액 부담
- 양성 반응 후 내시경 진행 시 → 건강보험 적용 가능
이 차이를 미리 알고 검진을 계획하면 불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비용을 줄이는 실질적인 방법 💡
-
의학적 증상이 있다면 검진보다는 병원 진료로 접수
→ 보험 적용 가능성 증가 -
수면내시경 대신 일반 내시경 선택
→ 진정관리료 절약 -
국가암검진 대상자 여부 확인
→ 무료 또는 일부 부담 검사 가능 -
용종 제거·조직검사 비용 사전 안내 요청
→ 검사 후 추가비용 충격 방지
실손보험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진단 코드 확인 후 영수증을 첨부해 청구해야 합니다.
유용한 링크 모음
FAQ (자주 묻는 질문)
대장내시경을 건강검진 목적으로 받으면 보험이 안 되나요?
네. 예방 목적의 건강검진은 보험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단, 증상에 따른 진단 목적이라면 보험 처리가 가능합니다.
수면 대장내시경도 보험 적용이 되나요?
아니요. 수면 대장내시경의 진정관리료는 비급여 항목이라 별도 부담해야 합니다.
용종 제거를 하면 비용이 많이 오르나요?
맞습니다. 용종의 개수와 크기에 따라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평균 13만~25만 원 정도 상승합니다.
실손보험으로 대장내시경 비용을 청구할 수 있나요?
진단·치료 목적이라면 청구할 수 있습니다. 다만, 건강검진 목적일 경우 보험금 청구는 불가능합니다.
국가암검진에서 대장내시경을 무료로 받을 수 있나요?
분변잠혈검사 결과가 양성일 때만 대장내시경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진단용 대장내시경은 어느 정도 본인 부담이 있나요?
건강보험이 적용되더라도 본인 부담률(보통 30%)이 존재해 약 2~3만 원 정도를 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