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는 집이나 사무실에서 파일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여러 기기에서 공유할 수 있는 개인용 클라우드 저장소입니다. 보통 공유기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하지만, 공유기 없이도 NAS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홈서버 세팅 가이드를 소개합니다.
NAS란 무엇일까?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이름 그대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 장치입니다.
- 파일 공유: 여러 기기에서 동일한 파일을 사용할 수 있음
- 백업: 중요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
- 멀티미디어 서버: 영화, 음악, 사진을 스트리밍 가능
즉, 개인 클라우드이자 홈서버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공유기 없이 NAS 구축하는 두 가지 방법
1. PC + 외장하드 활용 (가장 간단한 방법)
가장 쉬운 방법은 PC 또는 노트북에 외장하드를 연결해 NAS처럼 사용하는 것입니다.
- 방법
- 외장하드를 PC에 연결
- 공유할 폴더 설정 (Windows → 속성 → 공유 → 권한 설정)
- 같은 네트워크의 다른 기기에서
\\PC이름또는\\IP주소입력
- 장점: 비용이 거의 들지 않음
- 단점: PC를 항상 켜둬야만 NAS가 동작
2. NAS와 PC 직접 연결 (크로스오버 케이블 방식)
공유기 없이도 NAS와 PC를 직접 연결할 수 있습니다.
- 방법
- PC와 NAS를 크로스오버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
- 양쪽에 고정 IP 주소 설정 (예: PC: 192.168.1.10 / NAS: 192.168.1.20)
- NAS 관리 페이지 접속 후 스토리지 및 사용자 계정 설정
- 장점: 공유기 없이도 안정적 전송 가능
- 단점: 다른 기기에서는 접근 불가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NAS 세팅 루틴
-
NAS 장비 준비
시놀로지, 큐냅 같은 상용 NAS 또는 남는 PC/라즈베리파이 활용 -
스토리지 초기화
RAID, 볼륨 구성, 사용자 계정 생성 -
폴더 공유
사진, 영상, 문서 등 카테고리별 공유 폴더 생성 -
접근 방법 선택
- 내부 네트워크: PC/NAS 직접 연결
- 외부 네트워크: 클라우드 서비스 연동(VPN, QuickConnect 등)
- 백업 자동화
휴대폰 사진 자동 백업, PC 문서 폴더 동기화 설정
공유기 없이 NAS 구축 비교표
| 방법 | 특징 | 장점 | 단점 |
|---|---|---|---|
| PC + 외장하드 공유 | 외장하드 연결 후 네트워크 공유 | 저비용, 간단한 설정 | PC 항상 켜둬야 함 |
| NAS-PC 직접 연결 | 크로스오버 케이블로 단일 연결 | 안정적인 전송 가능 | 다른 기기 접근 불가 |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입문자: 외장하드를 PC에 연결해 간단히 NAS처럼 사용
- 1인 사용자: NAS와 PC 직접 연결해 빠르게 파일 관리
- 확장 희망자: 나중에 공유기를 추가해 다중 기기 접근 가능하게 업그레이드
FAQ (자주 묻는 질문)
공유기 없이 NAS를 써도 문제 없나요?
네, 단일 기기 접근이라면 문제없습니다. 다만 여러 기기에서 동시에 사용하려면 공유기가 필요합니다.
PC를 NAS처럼 쓰면 속도는 괜찮나요?
같은 네트워크라면 충분히 빠릅니다. 단, 전송 속도는 PC와 하드웨어 성능에 따라 달라집니다.
라즈베리파이로 NAS를 만들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오픈소스 NAS 소프트웨어(OpenMediaVault 등)를 설치하면 저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습니다.
NAS 전용 장비가 꼭 필요한가요?
필수는 아니지만, 전용 NAS는 전력 효율, 안정성, 관리 편의성이 뛰어나 장기적으로는 더 유리합니다.
NAS에 외부 접속도 가능한가요?
공유기 없이 직접 연결만 하면 불가능합니다. 외부 접속은 공유기 또는 VPN 설정이 필요합니다.
공유기 없이 쓰다가 나중에 공유기 연결해도 되나요?
네, 언제든지 공유기에 연결해 멀티 기기 환경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