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민생회복 지원금(소비쿠폰)은 가구별 소득과 자산 조건에 따라 지급 대상이 달라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1~4인 가족 기준 지급 조건과 케이스별 예상 지급액을 정리했습니다.
공통 지급 조건
- 소득 기준: 가구원 수에 따라 차등 적용
- 건강보험료 기준: 직장가입자 합산액으로 산정
- 자산 기준: 재산세 과세표준 12억 원 초과 가구 제외 가능성
- 금융소득 기준: 연간 2,000만 원 초과 시 제외 가능성
1~4인 가족별 소득·보험료 기준
가구원 수 | 월소득 상한 (예상) | 건강보험료 상한 (예상) |
---|---|---|
1인 가구 | 약 4,870,000원 | 약 190,000원 |
2인 가구 | 약 8,050,000원 | 약 320,000원 |
3인 가구 | 약 10,360,000원 | 약 420,000원 |
4인 가구 | 약 12,800,000원 | 약 510,000원 |
※ 수치는 발표된 예비안 및 기준안 참고, 실제 확정 시 변동 가능

2025년 2차 소비쿠폰 지급일 및 대상자 선정 절차 총정리
2025년 9월 22일부터 시작되는 2차 소비쿠폰 지급일정과 대상자 선정 절차에 대해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지원은 가계 부담을 완화하고 내수 진작을 목표로 하는 만큼, 지급 시기와 선정 기준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지급일, 신청 기간, 그리고 대상자 결정 과정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2차 소비쿠폰 지급일과 사용 기한 정부가 발표한 2차 소비쿠폰 지급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즉, 약 한 달 반 동안 신청이 가능하며, 지급된 쿠폰은 반드시 11월 말까지 사용해야 합니다. 기한을 넘기면 소멸되므로 기간 내 사용 여부가 가장 중요합니다. 대상자 선정 기준 2차 소비쿠폰 대상자는 소득 하위 90% 국민입니다. 단, 상위 10%는 제외되며, 일부 고액 자산가 역시 대상에서 빠지게 됩니다. …
4인 가족 케이스별 지급 예상
아래는 4인 가족 기준을 예시로 정리한 표입니다.
케이스 | 월소득 / 보험료 수준 | 자산·금융소득 조건 | 예상 지원금 |
---|---|---|---|
일반 가구 | 월소득 1,280만 원 이하, 보험료 51만 원 이하 | 재산세 과세표준 12억 미만, 금융소득 2천만 미만 | 25~30만 원 |
맞벌이 특례 적용 | 부부 각각 소득 높지만 보험료 특례 적용 | 동일 조건 충족 | 일반 가구와 동일 또는 소폭 감소 |
고소득 가구 | 월소득 1,280만 원 초과 | 조건 초과 시 | 지급 제외 |
고자산·고금융소득 가구 | 재산세 과세표준 12억 초과, 금융소득 2천만 초과 | 소득 충족해도 제외 | 지급 제외 |
취약계층(기초·차상위·한부모 등) | 소득 기준 낮음 | 우선 지원 대상 | 추가 혜택 가능 |
추가 고려 사항
- 맞벌이 특례: 소득이 높아도 가구원 수 +1 기준이 적용돼 유리할 수 있음
- 가족 구성 방식: 주소지가 다른 피부양자 포함 여부에 따라 달라짐
- 사용 기한: 지원금은 일정 기한 내 사용해야 하며, 미사용분은 소멸
요약 표
항목 | 1인 | 2인 | 3인 | 4인 |
---|---|---|---|---|
월소득 기준 | 487만 원 | 805만 원 | 1,036만 원 | 1,280만 원 |
건강보험료 | 19만 원 | 32만 원 | 42만 원 | 51만 원 |
재산 기준 | 12억 원 이하 | 12억 원 이하 | 12억 원 이하 | 12억 원 이하 |
금융소득 | 2천만 원 이하 | 2천만 원 이하 | 2천만 원 이하 | 2천만 원 이하 |
예상 지원금 | 약 6~10만 원 | 약 15~20만 원 | 약 20~25만 원 | 약 25~30만 원 |
유용한 링크 모음
FAQ (자주 묻는 질문)
1~4인 가구 모두 받을 수 있나요?
소득·자산·금융소득 기준을 충족하면 가능합니다. 기준 초과 시 제외됩니다.
맞벌이 가구는 어떻게 적용되나요?
맞벌이 가구는 특례가 적용돼 가구원 수 +1 기준을 적용받습니다.
건강보험료는 어떤 기준으로 산정되나요?
가구 전체 직장가입자 보험료 합산액으로 산정합니다.
고액 자산가는 왜 제외되나요?
정책 목적이 서민·중산층 민생 지원이므로, 일정 수준 이상 자산·금융소득이 있는 가구는 제외됩니다.
취약계층은 어떤 혜택이 있나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한부모 가구 등은 우선 지원되며 추가 혜택 가능성이 큽니다.
지급액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달라지나요?
네. 1인 가구는 6~10만 원, 4인 가구는 25~30만 원 등 가구원 수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