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지원하는 2025 민생회복지원금, 받았는데 어디서 써야 할지 막막하셨죠?
카드형이든 지역상품권형이든, 사용처를 정확히 알아야 알뜰하게 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민생지원금의 사용처 조회 방법을 카드사, 지자체, 배달앱까지 전부 정리해드립니다.
사용 가능한 업종은 어디?
지원금 사용은 ‘소상공인 가맹점’에서만 가능하며, 일부 업종은 제한됩니다.
사용 가능 업종 | 사용 불가 업종 |
---|---|
편의점, 동네마트, 미용실, 약국, 안경점, 병원 | 백화점, 대형마트, 면세점, 유흥업소, 프랜차이즈 카페 |
전통시장, 식당, 학원, 세탁소 등 | 기업형 슈퍼마켓(SSM), 온라인몰, 골프장 |
- 조건: 연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
- 예외: 같은 업종이라도 본사 직영점은 제한될 수 있음
카드형 지원금 사용처 조회 방법
1. 카드사 앱 또는 홈페이지 접속
- KB국민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NH농협카드 등에서 ‘소비쿠폰 가맹점 조회’ 메뉴 제공
- 지도 기반 검색 기능 활용 가능 (내 위치 중심)
2. 사용내역 확인
- 민생지원금으로 결제된 내역은 별도 표시되며, 해당 매장이 가맹점인지 바로 알 수 있어요
3. 사용처 알림 설정
- 일부 카드사는 사용 가능 여부를 결제 전에 알려주는 푸시 알림 기능도 제공
지역상품권형 사용처 조회 방법
1. 지자체별 지역상품권 앱 이용
- 서울: ‘서울페이플러스’
- 경기: ‘경기지역화폐’
- 기타 지역: ‘지류형 상품권 가맹점 조회 서비스’
2. 지도 기반 검색 가능
- 주소 기반으로 사용 가능한 매장을 검색할 수 있어 동네에서 바로 확인 가능
- 상호명으로도 조회 가능하여 미리 매장 확인 가능
배달앱 사용은 가능할까?
- 배달의민족, 요기요 등 일부 앱에서 ‘만나서 결제’ 기능을 사용하면 일부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
- 단, 앱 내 자동 결제는 지원금 사용 불가
TIP: 배달앱에서 ‘소비쿠폰 사용 가능’ 매장으로 필터 검색 가능
유용한 링크 모음
FAQ (자주 묻는 질문)
사용처가 표시된 스티커가 붙은 매장만 가능한가요?
그렇지 않습니다. 앱이나 웹에서 확인된 가맹점이면 사용 가능합니다.
백화점 내 개인 매장도 사용 가능한가요?
대부분 불가하며, 백화점 공간 내 입점 매장 전체가 제한 대상 입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사용할 수 없나요?
현재 온라인몰에서는 사용 불가 합니다.
카드로 결제했는데 지원금이 빠져나가지 않았어요. 왜죠?
해당 매장이 가맹점 등록이 안된 곳일 수 있습니다. 앱에서 사용처를 먼저 확인하세요.
사용기한이 있나요?
네. 2025년 11월 30일까지 사용 가능 하며, 이후 미사용 금액은 소멸됩니다.
편의점에서는 전부 사용 가능한가요?
편의점 대부분은 가능하지만, 일부 프랜차이즈 본사 직영점은 제한될 수 있습니다.
민생지원금, 어디서 쓸 수 있는지 알고 쓰면 다릅니다.
카드사 앱과 지역상품권 앱만 잘 활용해도
불필요한 결제 실수 없이 알뜰하게 사용 가능해요!
정확한 매장 확인이 필요하다면 언제든 도와드릴게요.